전체 글(76)
-
[백준/Python]11659_구간 합 구하기 4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11659 11659번: 구간 합 구하기 4 첫째 줄에 수의 개수 N과 합을 구해야 하는 횟수 M이 주어진다. 둘째 줄에는 N개의 수가 주어진다. 수는 1,00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 셋째 줄부터 M개의 줄에는 합을 구해야 하는 구간 i와 j www.acmicpc.net 풀이 처음에 m 만큼 리스트를 슬라이싱해서 풀었을 때 시간초과가 났습니다. i번째 항까지 누적 합을 나타낸 리스트를 미리 만들고, 합하는 연산을 줄여서 통과했습니다. 코드 import sys n, m = map(int, sys.stdin.readline().rstrip().split()) numbers = list(map(int, sys.stdin.readline()...
2021.06.04 -
[백준/Python]11057_오르막 수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11057 11057번: 오르막 수 오르막 수는 수의 자리가 오름차순을 이루는 수를 말한다. 이때, 인접한 수가 같아도 오름차순으로 친다. 예를 들어, 2234와 3678, 11119는 오르막 수이지만, 2232, 3676, 91111은 오르막 수가 아니다. 수 www.acmicpc.net 풀이 n 0 1 2 3 4 5 6 7 8 9 sum 1 1 1 1 1 1 1 1 1 1 1 10 2 1 2 3 4 5 6 7 8 9 10 55 3 1 3 6 10 15 21 28 36 45 55 220 표에서 n은 자릿수, n 옆에 숫자들은 n 자리 수의 맨 마지막 숫자, sum은 행의 합을 의미합니다. 다이나믹 프로그래밍으로 풀면 점화식을 구할 수 있는데..
2021.06.04 -
[백준/Python]2075_N번째 큰 수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2075 2075번: N번째 큰 수 첫째 줄에 N(1 ≤ N ≤ 1,500)이 주어진다. 다음 N개의 줄에는 각 줄마다 N개의 수가 주어진다. 표에 적힌 수는 -10억보다 크거나 같고, 10억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이다. www.acmicpc.net 풀이 우선순위 큐를 이용해서 풉니다. 먼저 입력으로 주어진 matrix의 첫 행을 최소 힙에 저장합니다. 힙의 root값(최솟값)은 n번째 큰 수가 되며 힙의 length를 유지하면서 반복문을 도는 게 핵심입니다. 이중 반복문을 돌면서 숫자 하나씩 힙에 heappush 하고 root값을 heappop 합니다.(단, 현재 힙의 root값보다 클 경우만 동작한다) 최종적으로 root값을 출력합니다. 코..
2021.06.03 -
[백준/Python]1461_도서관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1461 1461번: 도서관 첫째 줄에 책의 개수 N과, 세준이가 한 번에 들 수 있는 책의 개수 M이 주어진다. 둘째 줄에는 책의 위치가 주어진다. N은 10,00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고, M은 10,000보다 작거나 같다. 책의 위치 www.acmicpc.net 풀이 정렬과 그리디 알고리즘을 사용했습니다. 입력으로 주어진 책의 본래 위치를 음수 배열과 양수 배열로 나누고 절댓값의 내림차순으로 정렬합니다. max_value변수에 절대값이 최대가 되는 값을 저장합니다.(max_value값이 가장 멀기 때문에 세준이의 최종 위치가 됨) 반복문을 통해 왕복해야하는 경우의 수를 walk_cnt 배열에 추가합니다. 최종적으로 walk_cnt안의..
2021.06.03